본문 바로가기
가롯유다의 배신, 은 30냥에 눈 먼 사람의 최후는? 가롯유다의 배신, 은 30냥에 눈 먼 사람의 최후는? 오늘은 조금 기독교 관련 글을 쓰다 보니 약간 마음이 뜨거워집니다. 예나 지금이나 사람들은 스토리에 열광하지요. 과거 성경에 나온 인물들의 스토리 역시 매우 흥미롭답니다. 그중에서도 가롯유다는 천인공노할 인간이기도 하고 정말 인간스럽다고 해야 하나요? 그래서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는 사람이지요. 오늘은 은 30냥이 예수님을 배신한 가롯유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이 와중에 베드로도 등장하니까 함께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가롯유다 이름 영어로는 가롯유다는 이스카리옷 유다(Judas Iscariot)로 적으며, 유다는 예수님께서 손수 뽑은 12명의 제자 중에 한 명이었습니다. 예수님께서 손수 뽑은 인간이라니... 이런 생각 드시죠? 2... 2024. 3. 22.
고난주간 뜻 언제 일까? (2024년) 고난주간 뜻 기독교에서 자주 언급되는 고난주간은 언제일까요? 오늘은 고난주간이란 무슨 뜻이며 언제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고난주간이란? 고난주간(고난주일)은 그리스도께서 인간을 위해 고통을 당하시고 돌아가신 것을 기념하는 기독교의 행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최대한 절제하고 경건한 마음으로 보내는 시기이지요. 다른 명칭으로는 '수난 주간'으로도 불립니다. 그렇다면 가장 궁금한 게 이게 언제냐는 겁니다. 2. 고난주간 언제? 종려주일부터 부활시기 직전까지의 일주일 간을 가리킵니다. 종려주일에 대해서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의 글을 참고하시기를 바랍니다. 종려주일 뜻 이란 부활절이 3월 31일이고, 종려주일이 3월 24일이므로 3월 24일부터 3월 30일까지입니다... 2024. 3. 22.
종려주일 뜻 이란 종려주일 뜻 기독교 신자가 아니라면 꽤나 생소한 의미가 있습니다. 바로 종려주일인데요. 오늘은 종려주일이란 무슨 뜻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종려주일(椶櫚主日) 이란? 종려나무 가지를 들고 예수님이 예루살렘에 들어온 것을 환영했던 날을 기념하는 것이 바로 종려주일인데요. 예수님은 자신의 죽음을 이미 알고 계셨습니다. 하지만 그 죽음을 맞이해야 부활할 수 있었고, 그 죽음을 맞이하기 위해서 자신의 발로 예루살렘에 들어오시게 됩니다. 수많은 사람들은 어린 나귀를 타고 오시는 예수님을 종려나무 가지를 흔들면서 반겼고, '호산나'라고 외쳤지요. 즉, 예수님께서 이땅에서 육신의 죽음을 맞이하기 위해서 예루살렘에 들어오신 날을 기리는 것이 바로 종려주일입니다. 기독교에 대해 잘 모르시더라도 대충 예수님이 장.. 2024. 3. 21.
종로에서 뺨 맞고 한강에 가서 눈 흘긴다 뜻 사자성어 종로에서 뺨 맞고 한강에 가서 눈 흘긴다 우리말 속담에 종로에서 뺨 맞고 한강에 가서 눈 흘긴다가 있습니다. 오늘은 이 속담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지 그 뜻과 사자성어(한자성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종로에서 뺨 맞고 한강에 가서 눈 흘긴다 뜻 쉽게 말해서 자신이 어떠한 욕을 당한 자리에서는 아무 말도 못 하다가 뒤에 가서 불평하는 것을 가리킵니다. 한 대 맞았는데 아프지만 맞을 당시에는 아무 말 안 하고 있다가 뒤에 가서 험담이나 불평을 하는 거지요. 그리고 한 가지 의미가 더 있는데요. 자신의 노여움을 애매한 다른 곳으로 옮길 때를 일컫는 것이기도 하지요. 엄한 곳에 화풀이하는 상황에서 사용되기도 합니다. ① 욕을 당하고 뒤에서 불평함 ② 다른 사람에게 화풀이함 2. 종로에서 뺨 맞고 .. 2024. 3. 21.
무소부지 뜻 2가지, 한자에 따라 달라지는 의미 무소부지 뜻 한자성어 중에 무소부지라는 게 있습니다. 전에 다루었던 것처럼 '무소(無所)'로 시작하는 경우 ~가 없다는 의미로 해석이 된다고 말씀을 드렸는데요. 그렇다면 무소부지는 무슨 뜻일까요? 오늘은 무소부지 뜻 2가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至(이를 지)를 쓰는 경우 '무소부'까지는 한자가 똑같습니다. 동음이의어로 뒤에 오는 '지'에 따라서 그 뜻이 다른데요. 먼저 '이를 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무슨 의미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직역하면 '이르지 않는 데가 없다'라는 의미입니다. 어떤 의미로 사용되는지 바로 감이 안오실 겁니다. 예시를 통해 바로 살펴볼게요. 2. 예시 (예) 부정부패가 무소부지로 행해졌다. 여기에서 '지'는 앞에서 살펴본 至(이를 지)를 씁니다.. 2024. 3. 20.
뉘엿뉘엿의 뜻 뉘엿뉘엿의 뜻 보통 우리는 일상에서 해가 '뉘엿뉘엿' 넘어간다 등의 표현을 사용합니다. 뉘엿뉘엿은 정확히 무슨 뜻일까요? 오늘은 한국어 부사 중에 뉘엿뉘엿의 뜻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2가지 의미 보통은 해가 지려고 산이나 지평선 너머로 조금씩 넘어가는 모양을 가리킬 때 사용하지만, 그 외에도 속이 몹시 메스꺼워서 자꾸만 토할 것 같은 상태를 가리킬 때도 사용됩니다. 해가 조금씩 지는 모양에 대해서 '뉘엿뉘엿'을 사용하는 것은 다 아시니까요. 두번째 의미인 속이 울렁거리고 자꾸 토할 듯한 상태에 쓰인다는 게 중요한 것이지요. 2. 예문 ① 해가 산이나 지평선 너머로 조금씩 지는 모양. - 해는 뉘엿뉘엿 저물고 있다. - 해가 뉘엿뉘엿 서쪽으로 넘어가자 5일장이 정리되었다. - 뉘엿뉘엿 해가 .. 2024. 3.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