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장난 시계도 하루에 두번은 맞는다 뜻 설명 고장난 시계도 하루에 두 번은 맞는다의 뜻아무리 쓸모없거나 잘못된 것이라도 가끔은 옳거나 맞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즉, 실패하거나 무능한 사람, 혹은 오류가 있는 상황도 가끔은 우연히 결과를 맞출 수 있다는 비유적인 표현입니다. 1. 표현의 의미와 이유  이 표현은 고장난 아날로그 시계가 멈춘 상태에서도 하루에 두 번, 정확한 시간을 가리킬 수 있다는 원리에서 비롯되었습니다.아날로그 시계는 시침과 분침이 특정 시간에서 멈추면 그 시간이 고정됩니다. 하루는 24시간이지만, 아날로그 시계는 12시간 주기이기 때문에 멈춘 시계는 두 번 (오전과 오후) 정확히 같은 시간을 가리키게 됩니다. 예를 들어 고장난 시계가 오전 9시에서 멈춰있다면, 하루에 두 번 오전 9시와 오후 9시에는 정확히 맞는 .. 2024. 12. 18.
명실상부 뜻 일상에서 정말 자주 사용하는데 정확한 의미를 모르고 사용하는 단어들이 참 많습니다. 오늘은 명실상부 뜻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명실상부 뜻명실상부란 이름과 실제가 꼭 들어맞다는 의미입니다.  '명'은 한자로 '이름을 의미하고요. '실'은 현실에서의 '실'입니다. 이름과 실제라고 표현을 했지만, 명성과 실제라는 말이 더 적합해 보입니다.    주로 사용하는 예시를 살펴보면 그 이유를 알 수가 있습니다.   2. 예시한 반에 매우 공부를 잘하는 친구가 있었습니다. 고등학교 입학할 때부터 공부를 잘한다고 소문이 자자하였습니다. 그리고 실제로 모의고사부터 중간고사, 기말고사 모든 시험에서 전교 1등을 했습니다.  그리고 대망의 수능시험 날이 되었습니다. 가채점에서도 그 친구는 역시나 그 학교에.. 2024. 8. 8.
공든 탑이 무너지랴의 뜻 우리말에서 공든 탑이 무너지겄소 라는 게 있습니다. 오늘은 올바른 표현인 공든 탑이 무너지랴의 뜻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공든 탑이 무너지랴의 뜻노력한 것은 결코 헛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는 속담입니다.    2. 예시누구나 어떤 분야에서 실력자가 되길 원하고, 잘하고 싶어합니다. 하지만 제대로 하는 사람이 별로 없지요. 그 중에 한 명은 열심히 한 우물만 팠습니다.  그리고 결국에는 그 분야에서 성공을 했고, 강연도 다니고 많은 수익을 얻었습니다.   결코 노력한 것이 헛되지 않았고 보람이 있었다는 말입니다.  그런 사람을 보고 공든 탑이 무너지랴라더니 정말 그 말이 딱 맞네!   3. 맞춤법 여기서 '~랴'는 실제로는 의문의 형식이라는 것을 아실 텐데요. 여기서는 '반문'하는 것입니.. 2024. 8. 8.
십일지국 뜻 유래 한자 일상에서 사용하는 사자성어 중에 십일지국이란 무슨 뜻일까요? 오늘은 십일지국 뜻과 유래 한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십일지국 뜻10일째 되는 날의 국화라는 의미로, 이미 때가 늦은 일을 비유하는 표현입니다. 그렇다면 왜 10일째 되는 국화는 이미 시기가 늦었음을 비유하는 말이 되는 것일까요?  이것에는 아주 흥미로운 사실이 하나 있습니다.   2. 유래그 이유는 국화는 9월 9일 중양절에 한창 때로 가장 아름다운 때입니다. 그런데 이보다 하루가 더 지난 10일에 피는 것은 가장 아름다운 시기를 놓친 것이지요. 그래서 가장 아름다운 시기를 지나버린 국화는 그 가치를 제대로 인정받을 수가 없다는 것입니다.  참고로 중양절이란 세시 명절의 하나로 음력 9월 9일을 이르는 말인데요. 이때 양수가.. 2024. 7. 30.
사문난적 뜻 한자 오늘은 평소에 매우 생소하게 느껴지는 사문난적이란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사문난적 뜻사문난적이란 성리학의 교리를 어지럽히고 사상에 어긋나는 언행을 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우리나라는 매우 성리학이 발달된 나라이죠. 흔한 제사도 결국에는 성리학에서 온 것이니까요. 성리학에서 말하는 교리를 안 지키면 사문난적이라고 하고요.     성리학을 안 지켜도 적이 되고요. 이게 조선 중기 이후에는 해석을 다르게 해도 사문난적으로 몰아가기 시작합니다. 배가 불러서 그런 거겠죠. 원래 세상이 어지럽고 정신이 없으면 그런 짓을 안하는데, 등 따숩고 배가 부르니까 자기들 부질없는 논쟁을 만들고 있던 겁니다.   2. 양반사회의 모순조선 중기를 넘어가서 후기가 되면 양반사회의 모순이 드러납니다.. 2024.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