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어속담101

백가쟁명의 뜻과 유래 백가쟁명의 뜻 사자성어를 열심히 공부하시는 분들이나 혹은 윤리, 사상을 좀 배우시다 보면 '백가쟁명'이란 사자성어를 접해볼 수가 있습니다. 오늘은 백가쟁명의 뜻과 유래에 대해 중국의 역사를 갖고 간단히 이야기해보겠습니다. 1. 백가쟁명(百家爭鳴)? 이것은 수많은 학파나 학자가 자신들의 사상을 자유롭게 발표하고 논쟁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사자성어를 이해할 때는 조금 잘 이해할 필요가 있는데요. 사람들이 자기의 의견만을 주장하고 남의 이야기를 들으려하지 않는 모습이 아니라, 다양한 사상이 자신의 이야기를 자유롭게 이야기하는 분위기에 더 강조점이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자유로운 토론, 사상의 꽃피는 시기 이런 이미지인 거죠. 그러면 어디서 유래했는지 바로 살펴볼게요. 2. 백가쟁명 유래 중국사에 대해서.. 2024. 3. 16.
앞뒤가 다르다 사자성어 앞뒤가 다르다 사자성어 모음 저는 보통 사람을 믿는 편입니다. 그렇게 악의가 있는 사람이 많다고 생각하고 싶지는 않거든요. 그런데 대한민국은 사기공화국이라는 오명을 뒤집어 쓸 정도로 참 앞뒤가 다르고 이상한 사람들이 많다는 생각이 듭니다. 사자성어 중에서 이렇게 앞뒤가 다른 사람을 가리키는 사자성어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오늘은 앞뒤가 다르다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앞뒤가 다르다 사자성어 가장 대표적인 사자성어로는 '표리부동'을 들 수가 있겠습니다. 표리부동이란 겉으로 드러나는 언행과 속으로 가지는 생각이 다르다는 뜻입니다. 2. 표리부동 한자 表(겉 표) '표지'할 때의 '표'입니다. 裏(속 리) 속을 의미합니다. 不(아닐 불) 부정형을 나타내는 한자입니다. 同(같을 동) '그와 나.. 2024. 3. 13.
고군분투 뜻 고군분투 뜻 일상에서 고군분투라는 말을 들어본 경험이 있으실 겁니다. 해당 표현은 사자성어로 자주 사용되는 것인데요. 오늘은 고군분투 뜻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고군분투란? 사전적으로 혼자가 된 군사가 다수의 적과 용감하게 싸운다는 의미입니다. 이게 일상에서는 보통 타인의 도움을 받지 않고 힘든 일을 열심히 해나가는 상황을 비유하는 말로도 사용이 됩니다. 한국어 실생활에서는 고군분투하다의 동사로 자주 활용하고 있습니다. 한자를 보면 그 의미가 더 명확해지는데요. 2. 한자 孤(외로울 고) : 보통 '고아' 이런 단어에 자주 사용됩니다. 軍(군사 군) : 쉬운 단어이지요. 奮(떨칠 분) 鬪(싸움 투) : '전투'할 때 사용하는 단어입니다. 직역하면 외로운 군사가 열심히 싸우는 상황을 묘사하는 .. 2024. 3. 8.
인지상정의 뜻 인지상정의 뜻 꽤나 익숙한 단어입니다. 하지만 자주 사용하면서도 그 의미에 대해서는 정확히 생각해 본 적이 없는 사자성어이기도 하지요. 오늘은 평소에 자주 쓰지만 정확한 뜻을 몰랐던 인지상정의 뜻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인지상정이란 사람이라면 누구나 갖는 일반적인 마음이란 뜻입니다. 아마 모르셨던 분들이 많을 텐데요. 그럼 왜 일상에서 '그게 인지상정이지' 이런 표현을 쓰는 것일까요? 2. 쓰임새 여러분이 도로에서 운전을 하다가 어미를 잃고 혼자 돌아다니는 강아지를 보았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매우 놀라게 되는데요. 보통 그런 상황에서 이런 마음이 듭니다. '아, 저 강아지를 구해줘야겠다.' 사람이라면 보통 이러한 마음을 갖게 됩니다. 안타까운 상황에 처한 동물을 보면 도와주고 싶은 마음이 .. 2024. 3. 7.
남우충수 뜻 유래 (직장인이라면 공감할 사자성어) 남우충수 뜻 찾다 보면 참 흥미로운 사자성어가 많습니다. 오늘은 남우충수는 무슨 뜻인지 뜻과 유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남우충수 뜻 피리를 불 줄 모르는 악사들로 숫자를 채운다는 것으로, 능력이 없는 사람이 능력있는 사람으로 가장함 가리키는 사자성어입니다. 이게 무슨 의미일까 생각이 되시는 분들을 위해 한자를 살펴보고, 유래에 대해 이야기해 드리겠습니다. 2. 한자 濫 (넘칠 람) 강이 범람한다고 할 때의 람입니다. 竽 (피리 우) 피리를 분다는 의미이고요. 充 (채울 충) 우리가 보통 숫자를 충원한다고 할 때의 '충'입니다. 채운다는 뜻이지요. 數 (셈 수) 숫자를 가리킵니다. 3. 남우충수 유래 전국 시대 제나라의 국군이자, 위왕의 아들이었던 제선왕 때의 이야기입니다. 제선왕은 피리 소.. 2024. 3. 7.